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5

LED 조명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LED 조명이란 LED 소자를 사용해서 만든 제품 조명을 LED 조명이라고 합니다. 소자를 PCB에 실장을 한 제품을 LED 모듈이라고 하고 이 LED 모듈을 다양한 등기구에 조립한 것을 통틀어 LED 조명입니다. LED 조명은 기존 전통 조명에 비하여 수명이 길고 광효율이 좋기 때문에 현재는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조명입니다. 또한 LED 조명은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는 친환경 제품입니다. LED(Light Emiiting Diode)란 LED는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방출하는 다이오드입니다. LED는 갈륨, 인, 비소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기 때문에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지 않는 친화경 제품입니다. 효율이 높고 수명이 길어서 자동차 부품이나 가전제품에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광도(Lumin.. 2023. 1. 5.
도장 하도중도상도가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한 공부입니다. 페인트나 도장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보면 하도중도상도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을 때가 있는데 그것에 대해서 오늘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도작업 (사전작업) 페인트는 어디에나 잘 발리는 것은 아닙니다. 페인트는 분명 도포면에 따른 목정성이 분명히 존재합니다. 페인트가 도포면에 잘 부착되고 오랫동안 유지되기 위해서는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보통 하도 작업제로는 젯소, 프라이머, 바인더 등이 이에 속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셀프 페인팅 할 경우 유성보다는 수성 페인트를 추천해 드립니다. 문제는 플라스틱, 철 재질과 같은 곳에 작업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수성을 바르면 잘 되지 않고 시간이 오래 지나지 않아 페인트가 도포면으로부터 벌어질 수 있습니다. 만약에.. 2023. 1. 5.
건설공무 착공계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착공계의 정의 착공계는 공사 시행을 하기 위한 문서를 뜻합니다. 단순한 계약서만이 아닌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가지 자료들입니다. 최근에는 전자 문서를 활용해서 세움터에 등록을 하고 있습니다.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건축 허가를 받는 과정은 보통 사업팀과 설계팀에서 진행을 합니다. 현장 건설공무는 그 업무가 완료된 이후에 그 서류를 기준으로 착공 필증을 받고 실착공을 시작하는 준비를 해야 합니다. 착공계를 제출하기 전에 공사감리자가 지정이 되어야 합니다. 착공계 제출 후엔 실제 공사가 시작된 다는 것이기 때문에 그 공사를 관리 감독할 감리자가 있어야 합니다. 특히 안전관리계획서 검토에도 감리의 승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착공 일정에 맞춰 감리단의 확인도 필수입니다. 2. 착공계 필수 서류 목록 건설공.. 2022. 12. 30.
건설 공무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1. 건설공무의 의미 건설공무는 현장마다 1명은 필수로 배치되어 있고 2~3명까지 있는 현장도 있습니다. 회사별로 기준이 달고 공공사업인지, 조합사업인지, 민간 발주 등 발주처의 업무량에 따라도 인원이 달라집니다. 공부가 하는 업무는 정말 다양하고 많습니다. 착공 및 초기 인허가 업무, 환경 신고 및 공사 관계자 선임신고, 안전관리계획서 관리, 현장 예산관리, 외주 및 자재 발주관리, 본사 요청 서류 등등 업무가 다양합니다. 공무팀은 원가(예산), 공사팀은 공정관리, 안전팀은 현장안전, 품질팀은 품질관리, 이렇게 공품원안 4가지로 나뉘어서 관리한다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2. 공정과 공종의 차이 공정관리는 공사의 진도 상태를 말합니다. 공사 진도율을 확인하며 현장 공기를 맞추고 노력하는 모습을 공정관리라고.. 2022. 12. 30.